오늘은 된장 보관법, 고르는법, 종류, 효능까지
몰랐던 사실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된장 종류
된장은 우리나라 전통 조미 식품으로
음식의 간을 맞추고 맛을 낼 때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한식 요리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재래식 된장
만드는 방식에 따라 재래식과
개량식으로 나누어지며
재래식은 메주를 소금물에 발효시켜 만드는
전통적인 방식을 의미합니다.
개량식 된장
반면 개량식의 경우 삶은 콩에 밀을 섞은 후,
코지균을 이용해 발효시킨 것으로
단맛이 강하고 숙성 기간이 짧아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방식입니다.
막된장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된장으로
메주를 소금물에 발효시킨 뒤 간장을 제거하고
남은 부산물을 의미합니다.
주로 찌개나 국에 넣어 끓여먹거나,
무침이나 조림의 양념장으로 활용됩니다.
막장
메줏가루에 띄운 밀 또는 보리, 소금, 고춧가루 등을
섞어 만드는 것으로 2주 정도 숙성시킨 후
먹을 수 있는 속성 된장입니다.
짠맛과 단맛이 잘 어우러져 있으며
고기나 채소를 찍어 먹기에 좋으며,
막장 찌개나 강된장으로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빠금장
정식 명칭은 담북장이며 빠금장 또는
빠개장으로도 불립니다.
메줏가루에 따뜻한 물을 부어 하루 정도 삭힌 뒤
소금과 고춧가루를 섞어 일주일 정도
숙성시켜 내는 속성 된장입니다.
일반 된장보다 짠맛이 적은 것이 특징이며
강된장이나 찌개, 나물 요리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청국장
삶은 콩을 3일 정도 발효시킨 후 소금, 마늘,
생강, 고춧가루 등을 섞고 절구에 살짝 빻아
만든 것으로 1~2일 정도 아주 짧은 기간 동안만
숙성시켜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찌개로 끓여 먹지만 꿀을 살짝 곁들여
생으로 드시는 것도 좋습니다.
마트에서 된장 고르는 법
파트에서 파는 재래식 된장 중 식품 유형이
된장으로만 적혀있는 것은 대부분
대두 또는 탈지대두분, 쌀, 보리, 밀 등을 섞어
만든 개량식 된장입니다.
재래식 된장을 원하실 경우에는 상품명이 아닌
식품 유형이 한식 된장으로 표기된 것으로
구입해 주세요.
개량식 된장을 구입하실 때에는
성분표를 확인하여 한식 된장의 함량이 높거나,
탈지대두분 또는 대두분이 아닌
국내산 대두로 만든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향미증진제의 보존제 등 식품첨가물의 함량이
가급적 적은 것으로 추천드려요.
된장 보관법
사용 시 가급적 물기가 없는 주걱이나
숟가락을 이용해 덜어내는 것을 추천드려요.
수분이 닿으면 쉽게 맛이 변질되고
곰팡이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사용 후에는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골고루 된장을 꾹꾹 눌러주세요.
알맞게 자른 김을 여러 장 겹쳐
된장 위에 올려주세요.
요오드 성분이 다량 함유된 김 또는 다시마를
덮어두면 공기와 습기를 차단하고
곰팡이 생성을 막을 수 있답니다.
장표면에 곰팡이가 쉽게 생길 수 있으니
반드시 냉장 보관해 주시기 바랍니다.
냉장 보관 기간은 최대 3년으로
적정 온도는 약 4도 입니다.
집된장 보관법
가정에서 직접 담근 된장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깊은 맛을 내기 때문에 오랜 기간 두고
먹을 수 있다고 합니다.
장독에 담긴 된장의 경우 20도 정도의
온도가 유지되는 곳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으니 참고해 주세요.
된장의 유통기한
시중에서 팔고 있는 된장의 경우
다양한 식품첨가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제품 내 적혀있는 유통기한 또는
소비기한을 참고하여 보관하시는 게 좋습니다.
대부분 된장의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으로부터
최대 2년입니다.
반면 보관 중 쓴맛이 나거나 악취가 나는 등
기존의 상태와 다르게 변질된 상태가 확인된다면
섭취 시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아까우시더라도 버리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곰팡이 핀 된장, 먹어도 될까?
된장 보관 중 장 표면에 골마지 또는
꽃가지라고도 불리는 하얀 곰팡이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얀 곰팡이는 특유의 신맛을 내지만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해당 부분만 걷어내도 섭취하셔도
안전하다고 하니 참고해 주세요.
된장, 오래 끓이지 마세요
한국 의과학 연구원에 따르면 된장에는 유익균인
바실러스균이 풍부하여 섭취 시 장 건강에
큰 도움을 준다고 해요.
바실러스균을 많이 섭취하기 위해서는
생으로 드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가열 조리 시에는 된장을 넣고
10분 내로 끓여 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장시간 가열 조리할 경우 대부분의 바실러스균이
사라진다고 하니 참고해 주세요.
된장으로 잡내 제거하는 방법
된장에는 단백질 성분이 풍부하여 육류나 생선의
냄새 흡수에 매우 뛰어난데요.
염분 또한 다량 함유되어 있어 냄새의 원인인
미생물 번식을 막아준다고 합니다.
따라서 육류나 생선에 된장을 발라 주거나,
조리 시 된장을 곁들여주면 냄새 제거와 함께
식재료의 담백한 맛과 부드러운 식감도
살려준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함께 알아본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따뜻한 댓글이나 공감 하나 남겨주세요.
우리 가족 건강 레시피를 전해드리는
삼형제고기는 서로이웃 서이추 환영합니다:)
'유용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콜릿 종류, 초콜릿 유통기한과 보관 방법 (1) | 2024.03.01 |
---|---|
바나나 보관방법 : 후숙 및 냉동 보관 tip (2) | 2024.02.28 |
계란껍질 잘 까는 법 + 달걀 껍데기 활용법 (1) | 2024.01.03 |
가습기 청소방법 관리 방법 모르면 손해! (0) | 2023.12.13 |
술자리 예절, 주도 문화 바로 알기 (1) | 2023.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