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 바바나, 금방 익고 상해버려
버리시는 경우가 있으시나요?
이제부터 신선한 바나나로
오랫동안 신선하게 먹는 바나나 보관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바나나 고르는 법
바나나를 고를 때는 꼭지 부분의 길이가 짧고
몸통이 통통하며 매끈한 것이 좋습니다.
섭취일에 따라 고르는 방법도 다른데요.
2-3일 이내로 섭취할 시 밝은 노란색을 띠며
슈가 스팟인 갈색 반점이 있는 것으로 골라주세요.
반점이 생길수록 후숙이 잘되어
당도가 더욱 높답니다.
4-5일 이내로 섭취할 시 녹색을 많이 띠며
껍질과 줄기가 단단하고 싱싱한 것으로 골라주세요.
덜 익은 바나나를 골라 후숙하는 시간을 거쳐
보관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런 바나나는 사지 마세요!
상처가 있거나 탁한 노란색을 띠고
갈색 반점이 넓게 퍼져 있는 것은 피해주세요.
껍질이 갈라져 있는 바나나 또한
신선하지 않습니다.
바나나 후숙 방법
설마 바나나를 바로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고 계시나요?
바나나는 익지 않은 상태로 냉장 보관을
하게 되면 단 맛도 떨어지고
껍질도 까맣게 변하게 됩니다.
냉해로 인해 세포벽을 파괴하여
멜라닌 색소가 생성되어 검게 변하는 것인데요.
그러니 꼭 실온에서 후숙시킨 후 보관해 주세요.
후숙은 눕혀서 보관하면 무게가 아래로
집중되어 물러지기 쉬우니,
바나나 걸이가 있다면 활용해 주시고
없으실 땐 옷걸이를 사용해 보세요
옷걸이로 바나나 걸이 만들기
1. 옷걸이 양 끝을 잡고 ㅅ자로 만들어주세요.
2. 아래쪽 작은 ㅅ자 부분을
밑으로 당겨서 내려주세요.
3. 고리를 뒤로 젖혀준 후 바나나를
사이에 꽂아 세워주면 완성입니다.
바나나 검은 반점 괜찮을까?
바나나를 보관하다 보니 검은 반점이
자꾸 나타난다면?
녹말 성분이 당으로 바뀌면서 당도가 가장 높은
맛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슈가 스팟입니다.
하지만 슈가스팟이 생겼다면 부패 또한
빠르게 진행되니 얼른 드시기 바랄게요.
바나나 갈변, 먹어도 될까?
바나나 색이 갈색으로 변하면
과육 상태도 안 좋을 거라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바나나가 갈변이 되면 시각적으로는
별로일 수 있지만, 영양소 자체는
훨씬 더 증가한다고 합니다.
일반 바나나에 비해 약 8배 정도가
증가한다고 해요.
하지만 속까지 검게 변하거나 물러진 경우에는
상한 것이니 드시지 말고 버려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cqNiGa/btsFm6MVOqy/cICPH2N3pHz7QoYLKki7KK/img.png)
냉장 보관한 바나나의 변색은?
냉장 보관해서 바나나가 갈색으로
변한 것은 어떨까요?
바나나는 열대 과일이라서 냉해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스스로
폴리페놀을 분비합니다.
이 폴리페놀이라는 성분은 페놀라제라는
효소에 의해 퀴논이라는 성분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 성분이 또 다른 분자들과 결합하며
바나나의 갈색 부분이 나타나게 되는 겁니다.
바나나 장기 보관하는 방법
바나나를 장기간 보관할 경우에는
후숙을 한 다음, 꼭지 끝부분을 다 잘라서
냉장 보관해 주시면 좀 더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하실 수 있습니다.
바나나를 장기간 보관하실 때는
후숙 후 냉장 보관하시는 걸 추천드리는데요.
1. 바나나 송이를 하나씩 떼어낸 후
양쪽 끝 부분을 잘라내어 주세요.
꼭지 부분의 에틸렌 활성이 활발하여
금방 상할 수 있으니 잘라내주셔야 합니다.
2. 랩으로 돌돌 말아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해 주시면 됩니다.
바나나가 많이 익었다면 과육을 분리한 후
지퍼백에 넣은 후 냉동 보관해 주세요.
아이스 바나나로 드시거나, 스무디로
갈아 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멍든 바나나, 먹어도 될까?
간혹 잘 익은 바나나 껍질을 깠더니
과육 속이 갈색으로 변한 경우가
있으셨을 텐데요.
이것은 껍질 틈이 갈라져 있어서,
틈 사이로 공기에 노출이 되면서
과육 속의 효소와 작용하여
내부가 갈색으로 변한 것이랍니다.
섭취하시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요.
산소가 과육 속으로 들어가면서 갈색으로
색상만 변한 것이기 때문에
그냥 드셔도 괜찮습니다.
함께 알아본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따뜻한 댓글이나 공감 하나 남겨주세요.
우리 가족 건강 레시피를 전해드리는
삼형제고기는 서로이웃 서이추 환영합니다:)
'유용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의 맛! 분홍소세지 성분, 먹다 남은 소세지 보관 방법은? (0) | 2024.03.04 |
---|---|
초콜릿 종류, 초콜릿 유통기한과 보관 방법 (1) | 2024.03.01 |
된장 보관법, 곰팡이 안 피게 보관하는 방법은? (2) | 2024.02.26 |
계란껍질 잘 까는 법 + 달걀 껍데기 활용법 (1) | 2024.01.03 |
가습기 청소방법 관리 방법 모르면 손해! (0) | 2023.12.13 |
댓글